맨위로가기

기라이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라이 왕조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크림 칸국을 통치한 칭기즈 칸의 후예 가문이다. 오스만 제국의 속국으로서, 일부 학자들은 기라이 가문을 오스만 제국 다음으로 제국의 두 번째 가문으로 여겼다. 기라이 칸은 오스만 술탄 다음의 지위를 가졌으며, 화폐를 주조하고 법을 제정하는 등 자치권을 행사했다. 크림 칸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및 자포로지 코사크와 동맹을 맺었으며,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코사크를 지원했다. 1783년 러시아 제국에 크림 칸국이 병합된 후, 마지막 칸 샤힌 기라이는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여 처형되었고, 왕족들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에서 삶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림 칸국 -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은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으로, 러시아의 승리로 끝나 아이시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이 크림 칸국의 러시아 병합을 인정하고 오데사 등을 러시아에 할양했다.
  • 크림 칸국 - 러시아 제국의 크림반도 합병
    러시아 제국의 크림반도 합병은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그리고리 포툠킨의 주도하에 1783년 러시아 제국이 크림 칸국을 병합한 사건으로, 이후 크림반도는 러시아 제국의 타우리다 현으로 편입되어 크림 타타르인들이 대규모 이주와 차별 정책을 겪었다.
  • 몽골계 왕조 - 복드 칸국
    1911년 몽골 혁명 후 제브츠운담바 호토크트 8세가 보그드 칸으로 추대되어 건국된 복드 칸국은 티베트 불교를 국교로 하는 신정 체제 국가였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외교적 압력, 중국의 침공, 몽골 인민당의 몽골 인민 정부 수립 등으로 혼란을 겪으며 1924년 멸망하였다.
  • 몽골계 왕조 -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은 14세기 차가타이 칸국에서 분리되어 건국된 몽골계 국가이며, 티무르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흥망성쇠를 겪다가 17세기 말 준가르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 유럽의 왕가 - 스포르차가
    스포르차 가문은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밀라노 공국을 지배한 이탈리아 귀족 가문으로, 용병대장 무치오 스포르차를 시조로 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하고 유럽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었으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전쟁으로 몰락했다.
  • 유럽의 왕가 - 오스만 왕조
    오스만 왕조는 1299년 오스만 1세가 건국한 술탄 통치 튀르크계 왕조로, 600년 이상 존속하며 넓은 영토를 지배했으나 1922년 멸망 후 오스만 가문은 튀르키예에서 추방되었고 장자 상속 제도를 유지하며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기라이 왕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기라이 탐가
기라이 탐가
가문명기라이 왕조
로마자 표기Geraylar
아랍 문자 표기كرايلر
오스만어 표기آل جنكيز (Âl-i Cengiz, 칭기스 가문)
국가크림 칸국
모가문보르지긴 가문
칭호크림의 칸
카심의 칸
카잔의 칸
아스트라한의 칸
울루그 울루스의 칸 (1502년 이후)
창건1431년 - 하자 1세 기라이
해체카심: 1512년
아스트라한: 1523년, 1531년, 1549년
카잔: 1551년
크림: 1783년
부자크 호르드: 1792년
민족크림 타타르족
분가해당 없음

2. 오스만 제국의 속국

일부 학자들은 기라이 가문을 오스만 제국 다음 가는 두 번째 가문으로 여겼다.[3] "만약 로마비잔티움이 제국 정통성의 세 가지 국제적 전통 중 두 가지를 대표한다면, 칭기즈 칸의 혈통이 세 번째였다... 만약 오스만 제국이 멸망한다면, 칭기즈 칸의 후예인 기라이 가문이 그들을 계승할 것으로 이해되었다."[3]

15세기와 16세기 초, 기라이 칸은 오스만 술탄 다음 가는 지위였으며, 오스만 의전에서 대재상보다 상위에 있었다. 1584년 메흐메트 2세 기라이가 불복종으로 폐위된 후, 술탄은 크림 칸의 지위를 대재상 수준으로 강등시켰다. 기라이 칸들은 자신들의 영토의 군주이기도 하여, 화폐를 주조하고 칙령으로 법을 제정했으며, 자신들만의 투그라를 가지고 있었다.

2. 1. 오스만 제국 내 지위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기라이 가문은 오스만 제국 다음으로 오스만 제국의 두 번째 가문으로 여겨졌다. "만약 로마비잔티움이 제국 정통성의 세 가지 국제적 전통 중 두 가지를 대표한다면, 칭기즈 칸의 혈통이 세 번째였다... 만약 오스만 제국이 멸망한다면, 칭기즈 칸의 후예인 기라이 가문이 그들을 계승할 것으로 이해되었다."[3]

15세기와 16세기 초 동안 기라이 칸은 오스만 술탄 다음가는 지위였으며, 오스만 의전에서 대재상보다 상위에 있었다. 메흐메트 2세 기라이가 1584년 불복종으로 폐위된 후, 술탄은 크림 칸의 지위를 대재상 수준으로 강등시켰다. 기라이 칸들은 또한 자신들의 영토의 군주였다. 그들은 화폐를 주조하고 칙령으로 법을 제정할 수 있었으며, 자신들만의 투그라를 가지고 있었다.

3. 동맹 관계

타타르족과 자포로지 코사크의 전투


크림 칸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자포로지 시치와 동맹을 맺었다.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이슬람 3세 기라이의 지원은 코사크의 초기 군사적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기라이 왕조는 15세기에 크림 반도에 정착하기 전에 리투아니아에서 피난처를 찾았을 정도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관계도 강력했다.

3.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관계



크림 칸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및 자포로지 시치와 동맹을 맺었다.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İslâm III 기라이의 지원은 코사크의 초기 군사적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기라이 왕조는 15세기에 크림 반도에 정착하기 전에 리투아니아에서 피난처를 찾았을 정도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관계도 강력했다.

3. 2. 자포로지 코사크와의 관계



크림 칸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및 자포로지 시치와 동맹을 맺었다.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이슬람 3세 기라이의 지원은 코사크의 초기 군사적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1] 기라이 왕조는 15세기에 크림 반도에 정착하기 전에 리투아니아에서 피난처를 찾았기 때문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관계도 강력했다.[1]

4. 멸망

1783년 러시아 제국칸국을 병합하면서, 마지막 칸 샤힌 기라이는 1787년까지 명목상 권력을 유지했으나,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여 로도스에서 처형되었다.[4] 다른 왕족들은 바흐치사라이 궁전에 거주했고,[4] 셀림 3세의 아들 카트 기라이는 개신교로 개종하고 스코틀랜드 상속녀와 결혼했다.[4]

4. 1. 러시아 제국의 팽창

러시아 제국이 1783년에 칸국을 병합한 후, 마지막 칸 샤힌 기라이는 1787년까지 명목상의 권력을 유지했으나,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여 로도스에서 처형되었다.[4]

다른 왕족들은 러시아 당국의 허가 하에 바흐치사라이 궁전에 거주했다.[4] 셀림 3세의 어린 아들 카트 기라이는 선교사들에게 개신교로 개종했으며, 스코틀랜드 상속녀 앤 닐슨과 결혼했다.[4]

4. 2. 샤힌 기라이의 최후

러시아 제국칸국을 병합한 후, 마지막 칸 샤힌 기라이는 1787년까지 명목상의 권력을 유지했다.[4] 그러나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여 로도스에서 처형되었다.[4]

5. 멸망 이후

샤힌 기라이가 압뒬하미트 1세에 의해 처형된 후, 그의 가족은 이스탄불 부르가자다에서 살았다.[5]

5. 1. 오스만 제국 내 기라이 가문

샤힌 기라이가 압뒬하미트 1세에 의해 처형된 후, 그의 가족은 이스탄불 부르가자다에서 살았다.[5]

6. 기라이 왕조 가계도

금장 칸국/백장 칸국/대 칸국 (이슬람교 개종 이후)
카잔 칸국
크림 칸국
카심 칸국



하지 1세 기라이 (재위: 1428년 ~ 1429년, 1431년 ~ 1434년, 1441년 ~ 1456년, 1456년 ~ 1466년)


참조

[1] 문서 Alternative spellings include ''Geray'', ''Girey'', ''Guirey'', ''Ghirai'', ''Ghiray'', and ''Ghiray''.
[2] 간행물 HACI GİRAY I TDV İslâm Ansiklopedisi
[3] 서적 Prince of Princes: The Life of Potemkin London 2000
[4] 논문 Crimean Tatars, Nogays, and Scottish Missionaries: The Story of Kattı Geray and Other Baptised Descendants of the Crimean Khans http://www.cairn.inf[...] 2004
[5] 웹사이트 ŞÂHİN GİRAY https://islamansiklo[...] 2020-07-14
[6] 서적 16일 간의 세계사 http://book.naver.co[...] 북로드 2005-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